1. 업로드할 폴더로 이동
→ (예) C 드라이브 - 워크스페이스(Whakgo) - Test 프로젝트를 업로드한다면... C:\Whakgo\Test까지 이동
2. 오른쪽 마우스 Git Bash Here 클릭
3.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본인 이름"
→ (예)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whakgo"
4.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본인 깃헙 이메일 계정"
→ (예)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○○@daum.net"
5. git init 입력
→ 숨김 폴더 .git 생성된 것 확인할 수 있음
6. git remote add origin 깃저장소Code
→ (예)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블라블라/블라블라.git
* 깃 저장소 Code 확인 방법 확고의 깃 연동 게시글에서 확인 / 코드 복사하면 오른쪽 마우스 Paste로 붙여넣기
7. git status
→ 깃 상태 확인 가능(변경된 파일 등)
8. git add .
→ 모든 파일 track(추적/관리)
9. git commit -m "히스토리 내용"
→ (예) git commit -m "first commit"
10. 이클립스 실행 - 깃에 옮길 프로젝트명 클릭 - Team - Share Project 실행
- 상단에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 체크 및 해당 Project 체크 - Finish
11. 이클립스 오른쪽 상단 돋보기 옆 테이블 그림 클릭(Open Perspective) - Git 클릭 후 Open
- Git Repositories에 옮길 프로젝트명 클릭 - 오른쪽 마우스 클릭 - Switch To - New Branch 클릭
- Branch name 설정(developer_whakgo)
- Check out new branch 체크 - Finish
12. Git Repositories에 프로젝트명 오른쪽 마우스 클릭 - Commit 클릭 - Push HEAD - Login 뜰 때 마다
User에 깃헙 계정 아이디/PassWord에 깃헙 토큰 번호 입력 - Configure upstream for push and pull 체크
- pulling 해당되는 것 선택(기본 Merge) - Preview 클릭 - Push 클릭 - 깃허브 저장소에 업로드된 것 확인 - 끝 ★
▼ (관련) [이클립스] 깃허브 연동 방법 - 팀원 편
'IT & 일상기록 > 메모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 관련 예제 - 작성 중 (2) | 2022.09.23 |
---|---|
IP 관련 (0) | 2022.08.14 |
네트워크 관련 (0) | 2022.08.12 |
운영체제 관련 (0) | 2022.08.11 |
[JSP] 연도 오름차순/내림차순(Core 라이브러리 활용 - forEach) (0) | 2022.03.31 |
댓글